미국 시간으로 25일, 금융 당국의 볼커룰 완화 소식에 은행주가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미국 증시도 상승세로 마감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 볼커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폴 볼커(1927~2019)
볼커룰의 볼커는 전 연준 의장 '폴 볼커'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는 1979년부터 1987년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역임하고, 2009년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통령 경제회복 자분위원회 의장을 맡았습니다.
그가 연준 의장을 역임하던 시절은 1, 2차 오일쇼크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던 시기였습니다. 보통 물가가 오르면 경제가 호황이 되고 활발해지며, 물가가 내려가면 경기침체가 오게 되는데,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동시에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기존 경제학에서는 경기 호황에는 금리를 인상하여 경제를 안정시키고, 불황과 경기침체에는 금리를 인하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야 하는데, 이 두 가지 현상이 동시에 일어난 것입니다. 그는 치솟는 물가를 먼저 잡기 위해 1981년 미국의 기준금리를 21%까지 급격히 상승시킵니다. 이후 1983년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3.2%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런 그의 모습을 보고 '인플레이션 파이터'라는 별명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볼커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다시 등장한 볼커는 '볼커룰'을 통해 대형 은행을 규제하는 정책을 만듭니다. 금융위기가 월가 대형 은행의 무분별한 위험상품 판매와 도덕적 해이(기업의 재무상태가 악화되어도 정부가 공적 자금으로 구제해 줄 것이라는 믿음)로 인해 발생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당시 미국의 대형 은행은 자신들의 돈도 아닌 예금주들의 돈을 가지고 위험 상품에 대한 무분별한 투자로 예금주들의 자산에 큰 피해를 입히게 되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헤지펀드, 사모펀드 등의 위험자산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것을 막고, 파생상품에 투자 시 증거금을 유지하는 규정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은행의 대형화를 막기 위해 은행 간 합병 시 조건을 강화하는 정책도 추가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처럼 대형 은행의 파산이 경제 전반에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규제 완화를 통해 볼커룰 수정 움직임을 보이자 볼커는 후임 연준 의장들과 함께 언론에 기고문을 작성하기도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기부양 압박이 지속되자, 행정부는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볼커룰 완화
미국 시간으로 25일, 연방준비제도, 미국 통화감독청, 상품선물거래위원회, 증권거래위원회 등 미국의 주요 금융당국은 볼커룰 완화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시중은행의 헤지펀드, 사모펀드, 벤처캐피털(VC)에 대한 대규모 투자 금지 조항 중 벤처캐피털 투자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 것입니다. 또한 파생상품 거래 시 안전을 위해 증거금을 유지해야 하는 규정도 삭제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약 400억 달러, 원화로 48조 원가량의 증거금이 자산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규제 완화 안이 발표된 이후, 뱅크 오프 아메리카, 골드만삭스, JP모건 등의 대형 은행주는 3%대의 강세를 보였습니다. 은행주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그리고 미국 증시도 상승세로 마감되었습니다.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발표
금융위기의 재현을 막기 위한 규제 장치인 '볼커룰'이 완화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은 볼커룰 완화 발표와 함께 미국 중앙은행은 34개 대형은행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스트레스테스트란 은행의 재무건전성 평가로, 특정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은행이 얼마나 버틸 수 있는가를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향후 9분기 동안 V자 반등의 경우 5,800억 달러의 손실, U자 반등의 경우 7,000억 달러의 손실, W자(더블딥) 반등의 경우 6,600억 달러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U자형 반등의 7,000억 손실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규모와 같은 수준입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자기 자본비율을 늘리는 지시도 함께 발표하였습니다. 자기 자본비율이란 (자기 자본 / 총자산 * 100)을 통해 계산하게 되는데, 은행의 총 자산 대비 자신의 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판단하는 수치입니다. 보통 8% 이상을 안전한 정도로 보게 되는데, U자 반등의 경우 8%에 근접, W자 반등의 경우 8% 이하로 자기 자본비율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따라서 은행의 부실화를 막기 위해 자기 자본을 늘리는 지시를 내리게 된 것인데, 주요 조치로 자사주 매입 중단, 평균 이상 배당지급 금지를 결정한 것입니다.
미지의 세계
각국 중앙은행은 전례 없는 규모의 양적 완화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국가 채무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차 현금 배포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과거 금융위기가 되풀이 되는것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 역시 하나 둘 다시 풀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통화정책, 경제정책 하에서는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가고 있습니다. 이 폭탄 돌리기가 결국에는 누군가의 폭발로 끝나게 될지, 아니면 아무도 없는 곳에서 안전하게 폭탄이 터지게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시장에 대한 관심을 놓치지 않고,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투자는 본인의 책임이며, 이 글은 권유나 추천이 아닌 필자의 의견입니다. 참조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라며, 보다 자세한 검색과 공부를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공감과 공유는 창작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산업 전망, 클라우드 관련주에 투자하는 ETF 비교- SKYY(First Trust Cloud Computing), CLOU(Cloud Computing ETF) (0) | 2020.06.29 |
---|---|
5G 관련주에 투자하는 ETF - FIVG(Defiance Next Gen Connectivity) (0) | 2020.06.27 |
기업,산업 경쟁력 분석방법 - 마이클포터의 5가지 산업분석모델 (0) | 2020.06.26 |
KRX300 종목과 정기변경 (0) | 2020.06.21 |
코스닥150 레버리지 ETF 비교 -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 (0) | 2020.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