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이야기58

사이버보안 이슈 관련주, 산업전망과 ETF소개 - CIBR(First Trust NASDAQ Cybersecurity ETF), HACK(ETFMG Prime Cyber Security ETF)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이버 보안 이슈 최근 트위터에서 잔잔한 파동을 일으킨 사건이 하나 있었습니다. 7월 15일 미국 유명 인사들의 트위터 계정이 해킹당한 것입니다. 테슬라, 오바마 전 대통령,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 빌 게이츠 등 유명인사들의 트위터 계정에 동시에 '비트코인을 보낼 경우 두 배로 돌려주겠다'라는 내용의 트윗이 올라온 것입니다. 130여 개의 계정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해킹 및 트윗 게시가 발생했고, 실제로 비트코인을 보낸 피해자들도 발생했다고 합니다. 피해규모는 대략 12만 달러, 우리 돈으로 1억 5천만 원가량의 금액이 전송된 것입니다. 트위터의 해킹 관련한 피해 소식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해 8월에는 트위터의 CEO인 잭 도시의 계정이 해킹당하기도 했습니다. 2016년 미국.. 2020. 7. 22.
자산배분과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자산배분 ETF 소개 - AOA, AOR, AOM, AOK 위험자산과 자산배분 코로나 경제위기로 증시가 급등락을 하고 있습니다. 주가 하락이 절정에 달했던 3월 18일부터 23일까지, 우리나라의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주가는 5~6%대의 하락폭을 기록하며 엄청난 하락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아마 이 시기에 패닉 셀에 빠지신 분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렇듯 주식은 높은 변동성을 가진 '위험자산'중 하나입니다. 반면, 이 시기 동안 채권 및 금의 가격은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주식에 비해 작고,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몰려가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마 이 시기에 주식만 가지고 계셨던 분들에 비해 금과 채권 등을 함께 포트폴리오에 편입하신 분들은 낙폭이 훨씬 덜 했을 것이고, 심리적인 안정감 역시 보다 높았을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그냥 애플 같은 주식을 사.. 2020. 7. 19.
리츠 개념과 국내 상장된 리츠 비교 - 신한알파, 에이, 케이탑, 모두투어, 이리츠코크랩, 롯데, NH프라임 등 리츠란? 이번 글에서는 증시에 상장된 리츠 회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츠란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를 의미하며, 부동산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투자상품입니다. 부동산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큰 금액이 필요합니다. 혹은 은행 대출 등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투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때문에 큰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대출이라는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반면 리츠는 소액 투자자들을 대상을 펀드를 조성하여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인 자금을 부동산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닌, 부동산에 투자하는 회사의 주식을 구입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조성된 자금으로 부동산에 투자를 하게 되면 발생한 이익을 투자자들에게 .. 2020. 7. 19.
자동차 산업 전망과 관련주에 투자하는 ETF 소개 - KODEX 자동차 자동차 산업 전망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주당 1,000달러를 달성하여 '천슬라'라는 별명을 갖게 된 테슬라는 그 사이 주당 1,700달러를 달성하고, 자동차 업계 중 시가 총액 1위의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테슬라는 모두 아시다시피 전기차, 자율주행차를 주로 생산하는 완성차 업체입니다. 전통적인 내연기관 완성차 업계의 강자인 도요타, 폭스바겐 등의 회사를 제치고 차세대 완성차 업체가 업계를 주도하게 된 것입니다. 얼마 전 100% 이상의 급등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나스닥 상장 업체인 '니콜라'는 수소 트럭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업입니다. 1회 연료 주입으로 19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는 모델을 발표했지만, 사실 아직 판매 실적은 없습니다. 다만,.. 2020. 7. 18.
채권의 정의와 투자등급 회사채에 투자하는 ETF 소개 - LQD(iShares iBoxx USD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ETF), VCIT(Vanguard Intermediate-Term Corporate Bond ETF) 채권이란 채권이란 어떠한 단체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하는 증서를 뜻합니다. 현재 얼마만큼의 돈을 빌려주면, 정해진 기한이 경과한 후에 원금 + 이자를 함께 준다는 계약입니다. 채권의 특징으로는 발행 시에 발행자가 상환해야 할 원금과 이자가 확정되어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발행자의 수익 여부와 관계없이 이자를 지급해야 하며, 또한 상환능력이 있는 한 원금 역시 상환해야 할 의무가 있는 증서입니다. 그리고 원리금의 상환기간 역시 정해진 상태로 발행이 됩니다. 이처럼 채권은 수익률이 확정적으로 정해져서 발행되기 때문에, 주식에 비해 조금 더 안전한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나 미국에서 발행하는 국채는 미국이라는 국가가 망하지 않는 이상 확정적인 수익률을 지급받을 수 있으므로 가장 안전한 자.. 2020. 7. 17.
전세계 신흥국 증시에 투자하는 ETF - EEM(iShares MSCI Emerging Markets ETF) 1. 소개 EEM ETF는 전 세계 신흥국 증시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네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MSCI)에서는 다양한 지수를 생산해 내고, 이 지수들은 여러 상품들의 기초 자산이 되기도 합니다. 이중 MSCI Emerging Market, 즉 '이머징 마켓'이라는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이머징 마켓이란 새롭게 떠오르는 시장이라는 뜻으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 있는 국가들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평가 기관에 따라 신흥국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선진국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MSCI에서 발표하는 신흥국 지수는 총 26개의 신흥국과 그중에서 1,300여 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산출해 내는 지수입니다. 주요 국가로는 비중 .. 2020. 7. 16.
중국 주가지수 종류와 중국에 투자하는 ETF 비교 - KODEX 심천ChiNext(합성), TIGER 차이나CSI300, KODEX 중국본토CSI300, KODEX 중국본토 A50 중국 주가지수 종류 중국의 증권거래소는 크게 상해, 심천, 홍콩 세 곳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홍콩증권거래소는 1891년 개장된 거래소로서, 세 곳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거래소입니다. 상해증권거래소와 심천증권거래소는 각각 1990년, 1991년 개장되었습니다. 글을 읽기 전에 미리 알아두시면 좋은 용어는 '후, 선, 강, 통'입니다. '후'는 상하이를, '선'은 심천을, '강'은 홍콩을 뜻하며, '통'은 통한다 라는 뜻입니다. 즉 후강통은 상하이와 홍콩을 연결한다는 뜻이고, 선강통은 심천과 홍콩을 연결한다는 뜻입니다. 상해거래소에서는 주로 중국의 국영기업과 금융기업, 석유 업체와 같은 에너지 기업들이 상장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대형주 위주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천거래소의 경우 벤처기업, IT기업.. 2020. 7. 13.
금 현물에 투자하는 ETF 비교 - GLD(SPDR Gold Shares), IAU(iShares Gold Trust) 1. 소개 이번 ETF는 금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금'값이 연일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고점 가격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금은 2011년 8월, 1920$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아직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0년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세계 경제위기와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 홍콩 경제 이슈, 브렉시트 등 각종 경제 이슈로 인해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인 가치는 그렇게 크지는 않지만, 어딜 가나 금을 법정화폐(현금)로 교환할 수 있다는 믿음이 사람들 사이에 있기 때문입니다. 금을 투자 목적으로 구매하길 원하는 경우,.. 2020. 7. 11.
미래산업 대표 종목에 투자하는 ETF비교 - TIGER 200커뮤니케이션, XLC(Communication Services Select Sector SPDR Fund) 1. 소개 이번 TIGER 200커뮤니케이션 ETF와 XLC ETF는 각각 국내 증시와 글로벌 증시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이름의 업종이 낯선 분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CS)란 2018년 새롭게 생긴 업종입니다. 인터넷, 이커머스, 통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업체 등이 이동해 새롭게 만들어진 섹터입니다. 데이터 관련 산업, 사물인터넷, 5G, 클라우드, 플랫폼 산업 등 미래 산업을 대표하는 섹터가 신설된 것입니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이름과 관련 산업군이 바로 연결이 안 되긴 합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업들로 구성된 ETF라고 보시면 쉬울 것 같네요. 4차 산업혁명 테마의 ETF인 만큼, 미래의 성장세가 더욱 기대되는 ETF라고 생각합니다. 2... 2020. 7. 10.
나스닥100(NASDAQ100)지수를 추종하는 ETF 비교 - QQQ, PSQ, QLD, QID, TQQQ, SQQQ 1. 소개 이번 TQQQ와 SQQQ ETF는 미국 나스닥 100 지수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기존에 소개드린 QQQ와 다른 점은, 이 ETF는 나스닥100 지수를 '3배'로 추종한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나스닥 지수가 3%가 오른다면, TQQQ의 가격은 9%가 오르는 것입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TQQQ ETF가 나스닥100 지수가 상승할 때 가격이 오르는 종목이라면, SQQQ ETF는 반대로 나스닥 100 지수가 하락할 때 가격이 오르는 종목입니다. 변동폭 역시 TQQQ와 비슷하게 X3으로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이외에도 QLD, QID 등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다양한 상품들이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선택폭이 굉장히 넓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 7. 9.
FAANG과 미국 대형 기술주에 환전없이 투자하는 ETF - KODEX 미국FANG플러스(H) 1. 소개 이번 KODEX 미국FANG플러스(H) ETF는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종목입니다. FANG 내지 FAANG 에 대한 이야기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페이스북(F), 애플과 아마존(A), 넷플릭스(N), 구글(G)를 줄여서 한꺼번에 부르는 용어입니다. 나스닥 증시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들입니다. 코로나 경제위기 이후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며, 요즘 가장 핫한 기업들이기도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M)가 빠져있는 것이 아쉽기는 하지만, 위 종목들만 해도 전혀 아쉬울 것이 없는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ETF는 국내에서 환전 없이 위 종목들에 투자할 수 있는 ETF입니다. 'FANG+'라는 것은 위에 언급된 기업들 외에 다른 대형 기술주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2020. 7. 7.
글로벌 전기차, 2차전지 관련주에 투자하는 ETF - LIT(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1. LIT소개 LIT ETF는 전 세계의 전기차, 2차 전지 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일전 글에서도 소개드렸듯이, 앞으로의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로 집중될 것이라는 흐름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부분입니다. 이미 흐름은 시작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전기차 생산업체인 테슬라가 지난 7월 1일부로 자동차 업체 중 시가총액 1위에 등극했습니다. 이미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가 자동차 업계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된 것입니다. 전기차 관련 희소식은 또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업체인 현대자동차가 수소 전기차 판매량에서 글로벌 1위를 달성한 것입니다. 현대차의 주력 수소 전기차인 '넥쏘'는 1회 충전 시 609km를 주행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 발전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개별 .. 2020. 7. 6.